이번 주부터 온라인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서 간단하게 '개인신용평가 대응권'이라는 것을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들 본인의 신용점수 잘 알고 계신가요? 요즘에는 자주 사용하는 카톡에서 카카오페이로 들어가서 바로 확인하거나 토스앱이나 각 은행앱에서도 신용평가회사와 연동해서 손쉽게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나의 신용점수와 상위 몇 퍼센트인지까지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용점수 산정기준
그런데, 신용평가 회사별로 평가하는 내 신용점수가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평가 기준이 일정하지 않다는 겁니다. 신용점수는 현대사회에서 내 얼굴이자 명함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사용이나 대출, 본인의 정규 수입부터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공과금 납부내역 등 여러 가지 항목들을 평가해서 신용점수를 산정한다고까지는 알려져 있지만 실제 평가 방식은 기업비밀이기 때문에 고객들은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돈을 지불하고 이용하는 금융기관도 정확한 평가 방식을 알 수 없습니다.
신용점수 20점 이상 상승하면 40만 원 격려금 지급
하지만, 이 신용등급이 은행의 대출이자 금리를 결정하고, 금리인하요구권을 행사해서 기존에 받은 대출금리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채무조정 중인 청년이 신용점수가 20점 이상 상승하면 40만 원의 격려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만큼 신용점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은행직원도 잘 모르는 내 신용점수에 유리하게 반영된 항목과 불리한 내용 등을 본인이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신청해서 직접 확인하고 이의제기까지 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2020년 8월부터 개인신용평가회사들의 내 신용점수 평가 결과에 대해 어떤 이유로 점수를 매겼는지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거나 결과에 대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권리를 소비자에게 부여하는 '개인신용평가 대응권'이라는 제도가 신용정보법에 생겼습니다. 하지만 FAX와 이메일로만 신청이 가능했고 제대로 홍보를 하지 않아서 은행 직원들조차도 대부분 모르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실제 지난 3년 동안 이 제도를 이용한 사람이 전 국민 중에 한 자릿수 밖에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개인신용평가 대응권을 신청하면 내 신용점수에 유리하게 반영된 항목과 불리한 내용 등을 본인이 직적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부터는 온라인 홈페이지나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도 간단하게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청은 신용평가 회사의 홈페이지나 앱에서 하 실 수 있습니다. 나이스 평가정보(NICE)에서 신청하는 방법을 예시로 보여드릴게요. 검색창에 '나이스지키미' 검색하셔서 홈페이에 들어가서 할 수 있습니다. '미소 짓는 데이터생활'이라는 메뉴에 '소비자 보호', '자동화평가결과 설명요구'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로그인의 경우 네이버나 카카오톡 선택해서 본인인증만 하시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온라인 신청'눌러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보편적으로 결과는 3일 후에 우측에 '내역확인'에서 내 신용정보에 대한 산출근거 등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체가 있었다면 연체정보를 비롯해서 신용카드를 새로 만들었다거나 부채 수준, 신용거래의 패턴,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등의 성실 납부 실적등이 나옵니다.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고 컴퓨터가 기계적으로 점수를 매기기 때문에 신용점수에 이의가 있다면 바로 결과에서 이의신청까지 하실 수 있습니다.
코리아크레딧뷰로, SCI평가정보에서도 비슷한 방법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문자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가 왔고, 카톡으로 로그인해서 내역확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처음 온라인 신청이 시작됐던 4월 6일에 자동화평가 결과 설명요구를 신청했었고, 신용점수를 산출할 때 긍정 평가로 작용된 요인과 부정평가로 작용된 요인의 산출근거를 볼 수 있고, 자동화 평가의 평가요소와 활용 비중이 나와 있습니다.
신용거래 형태와 채무상환이력정보가 가장 비중이 높습니다. 아래쪽에 항목별로 상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에서는 어떤 정보를 이용했는지에 대해서 항목별로 나오고 신용점수에 이의가 있다면 잘못된 내용, 정정할 내용, 정정 사유등을 입력해서 이의신청 할 수 있습니다.
신용대출금리뿐만 아니라 주택담보대출금리까지 대출금리로 인해 요새 많은 분들이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계시는 게 현실입니다. 이제는 많이 알려진 '금리인하요구권'에 본인의 신용점수가 많이 오른 경우도 해당하기 때문에 금리인하요구권을 행사해서 대출이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요구권도 마찬가지로 각 은행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지만 오늘 공유해 드린 '개인신용평가대응권' 신청하시면서 내 신용점수에 관심을 더 가져 보시고, 과거에 비해 신용점수가 많이 올랐다면 '금리인하요구권'도 일단은 신청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여러분들도 잘 활용하셔서 대출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여보시면 좋겠습니다.
댓글